중국 주식

중국 딥시크 AI 등장으로 인한 글로벌 기술 환경의 변화

박태공의주식세상 2025. 3. 4. 21:06
반응형

중국 딥시크 AI 등장으로 인한 글로벌 기술 환경의 변화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개발한 인공지능 모델이 글로벌 AI 시장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2025년 초 공개된 딥시크의 AI 모델은 기존 서구권 AI 개발 패러다임에 도전장을 내밀며, 기술적 혁신, 비용 구조 변화, 그리고 지정학적 AI 경쟁 구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딥시크 AI의 혁신적 기술, 경제적 영향, 글로벌 대응, 그리고 미래 전망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겠습니다.

딥시크의 기술적 혁신과 파급효과

딥시크가 가져온 가장 큰 변화는 AI 개발 패러다임의 근본적 전환입니다. 2025년 1월 20일 공개된 '딥시크 R1'과 후속 모델 'DeepSeek-V3'는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제미나이와 같은 최신 AI 모델과 맞먹는 성능을 보여주면서도 개발 비용은 현저히 낮았습니다. 딥시크가 사용한 GPU는 엔비디아의 고성능 H100이 아닌 저사양 H800 칩 2천여 개로, 개발 비용은 한화 약 80억 원으로 빅테크 기업들이 사용한 비용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했습니다1.

딥시크의 기술적 혁신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첫째는 전문가 혼합 기법(MoE, Mixture of Experts)입니다. 이 기술은 특정 분야의 여러 전문가가 머리를 맞대 작업하듯, 특화된 LLM 모델 여러 개를 모아 필요에 따라 특정 모델만 활성화하는 방식입니다1. 둘째는 Multi-head Latent Attention(MLA) 기술로, 이를 통해 메모리 사용량을 대폭 감소시켜 효율적인 모델 운영을 가능하게 했습니다3. 이러한 기술적 혁신은 AI 모델 개발의 비용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딥시크의 혁신이 가져온 또 다른 중요한 변화는 AI 모델 학습 방법의 전환 가능성입니다. 딥시크는 MoE 등의 혁신적인 기술을 활용하여 AI 모델 학습 방식의 변화를 촉발했습니다. 미래의 AI 모델들은 연산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유사한 최적화 기법을 도입하는 사례가 증가할 전망입니다2. 딥시크의 강화학습 기법, 특히 GRPO 기법은 향후 AI 모델 개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콜드스타트 데이터 및 지식증류 기법은 최소한의 학습 데이터로도 AI 모델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산업 표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2.

경제적 파급효과와 산업구조 변화

딥시크의 등장은 AI 개발 및 운영의 경제성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딥시크가 최근 발표한 자체 수익성 평가입니다. 2025년 3월 4일 개발자 플랫폼 깃허브에 올린 기술설명에 따르면, AI 모델 R1/V3의 하루 총수입은 56만 2,027달러(약 8억2천만 원), 일일 총비용은 8만 7,072달러(약 1억3천만 원)로, 비용 대비 이익률이 545%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6. 딥시크가 수익률 정보를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비록 일부 서비스가 무료여서 실제 이익률은 이보다 낮을 수 있다는 단서를 달았지만, 이러한 수익성은 AI 산업의 경제적 구조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딥시크의 최신 모델인 'DeepSeek-V3'의 개발 비용은 560만 달러로, 오픈AI의 GPT-4 개발 비용인 1억 달러의 약 5.6%에 불과합니다5. 이러한 비용 효율성은 AI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실리콘밸리 투자사 멘로벤처스의 책임자 디디 다스는 딥시크가 미국에 있었다면 100억 달러(약 14조 6천억 원)가 넘는 가치의 회사였을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6. 이는 딥시크의 기술적 가치뿐만 아니라 경제적 가치도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딥시크의 등장은 AI 산업계의 혁신을 촉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딥시크가 PTX(Portable Thread Execution)를 사용하여 엔비디아의 CUDA 라이브러리를 회피하고 GPU 최적화를 극대화한 사례는 향후 기업들의 AI 모델 개발 비용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올 전망입니다2. 또한 AI 산업이 대규모 범용 모델 중심에서 벗어나 특정 산업 및 목적에 최적화된 맞춤형 AI 모델 개발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오픈소스 AI 모델의 활용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벌 AI 경쟁 구도의 변화

딥시크의 등장은 미국과 중국 간 AI 개발 경쟁을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오픈AI 및 구글이 서구 시장을 주도하는 반면, 딥시크를 필두로 한 중국의 AI 기업들은 아시아 및 신흥 경제국을 중심으로 영향력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2. 이로 인해 각국 정부는 기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AI 연구 개발에 대한 투자를 더욱 강화할 가능성이 높으며, 글로벌 AI 거버넌스 구조에도 변화가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딥시크의 오픈소스 전략은 오픈AI 및 구글과 같은 폐쇄형 AI 모델 전략과 직접적인 경쟁 체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딥시크가 경쟁력 있는 성능을 더 낮은 비용으로 제공할 경우, AI 산업 전반에서 오픈소스 친화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하는 기업들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2. 그러나 보안, 규제 준수, 특수 AI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한 산업(금융, 의료, 국방)에서는 폐쇄형 AI 모델이 향후에도 강력한 시장 입지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엔비디아를 비롯한 AI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딥시크의 등장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3. 소프트웨어 기술만으로도 고성능 AI 개발이 가능하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어, AI 칩에 대한 의존도가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중국 기업들의 AI 기술 발전으로 엔비디아의 중국 시장 점유율이 위협받고 있으며, 저비용 고효율 모델 개발로 인한 기술 격차가 축소되고 있습니다3.

각국의 대응과 규제 동향

딥시크의 급격한 확산에 대해 각국 정부와 규제 기관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한국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딥시크가 한국의 개인정보 보호법을 준수하도록 "개선 및 보완" 조치가 이루어질 때까지 앱스토어에서 신규 다운로드를 제한한다고 밝혔습니다8.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기존 사용자들은 계속해서 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딥시크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서도 접속이 가능합니다.

한국뿐만 아니라 대만과 호주 정부도 공무원들이 딥시크를 업무용 기기에 설치하는 것을 금지했습니다8. 이탈리아 규제 당국은 딥시크를 앱스토어에서 삭제하고, 개인정보 보호 정책에 대한 우려가 해결될 때까지 서비스 재개를 보류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미국에서도 일부 의원들이 연방정부 기관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발의했으며, 텍사스, 버지니아, 뉴욕 등 일부 주정부는 이미 공무원들이 딥시크를 업무용 기기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규정을 도입했습니다8.

미국 정부와 IT 기업들은 딥시크의 등장에 강한 경계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은 AI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면서 자사의 AI 모델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9. 또한 AI 데이터 유출 및 보안 문제를 우려하며 딥시크의 데이터 수집 방식이 챗GPT의 학습 데이터를 무단 활용했을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에서는 개인정보 보호 및 규제 강화에 나서고 있으며, 중국 정부는 딥시크를 자국 AI 기술 발전의 상징으로 내세우며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습니다9.

미래 전망과 산업 생태계의 변화

딥시크의 등장은 AI 연구개발의 민주화 및 가속화를 촉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픈소스 AI 모델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AI 개발자뿐만 아니라 스타트업, 대학 연구소, 중소기업들도 AI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9. 이는 AI 산업의 혁신 속도를 더욱 가속화하는 요인이 될 것입니다.

AI 산업의 비용 구조 변화는 반도체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존에는 고성능 AI 모델 개발을 위해 엔비디아의 고성능 칩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지만, 딥시크의 사례는 저사양 칩으로도 고성능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3. 이는 반도체 제조사들에게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딥시크의 혁신으로 글로벌 AI 기술 발전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3. 저비용 고효율 모델 개발로 AI 산업의 비용 구조에 변화가 예상되며, 오픈소스 모델 공개로 AI 연구 및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AI 기업 간 기술 및 시장 점유율 경쟁이 격화되면서, 이는 결과적으로 AI 기술의 발전 속도를 더욱 높일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

딥시크의 등장은 단순한 새로운 AI 모델의 출현을 넘어 글로벌 AI 생태계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MoE와 같은 혁신적 접근방식이 AI 개발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경제적으로는 AI 모델 개발 및 운영의 비용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지정학적으로는 미국과 중국 간의 AI 기술 경쟁을 더욱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각국 정부의 규제 대응을 촉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딥시크와 같은 혁신적 AI 기술의 등장은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AI 기술의 민주화와 접근성 향상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개인정보 보호, 데이터 보안, 윤리적 문제 등에 대한 우려도 함께 증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술 혁신과 규제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글로벌 AI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입니다. 딥시크는 AI 기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그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

Citations:

  1. https://m.science.ytn.co.kr/program/view.php?s_mcd=0082&key=202502101116532045
  2. https://www.ifs.or.kr/bbs/board.php?bo_table=research&wr_id=11001
  3. https://brunch.co.kr/@mentats1/585
  4. https://brunch.co.kr/@fa07e52d264c4ce/327
  5. http://koreafuture.co.kr/m/view.php?idx=17785
  6. https://www.youtube.com/watch?v=1TSaB1199xk
  7. https://seo.goover.ai/report/202502/go-public-report-ko-8d59a218-e7bd-4c4b-baa9-630f470d1316-0-0.html
  8.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98387zkj7go
  9. https://w-info.tistory.com/234
  10. https://www.khan.co.kr/article/202502080900061
  11. https://blog.naver.com/global_biz_strategy/223744084785
  12.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5/02/18/WBKLG2TAUJGD3H2XP2ZBE434RI/
  13. https://www.xn--2z1bz5tdvbiwlf4j.com/129
  14.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38894g
  15.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kgyrk30lyyo
  16. https://www.cio.com/article/3826373/%EC%B9%BC%EB%9F%BC-%EA%B8%B0%EC%97%85%EC%9D%98-ai-%EB%8F%84%EC%9E%85-%EA%B4%80%ED%96%89-%EB%94%A5%EC%8B%9C%ED%81%AC-%EB%93%B1%EC%9E%A5-%EC%9D%B4%ED%9B%84-%EB%AC%B4%EC%97%87.html
  17. https://www.cio.com/article/3830876/%EC%B5%9C%ED%98%95%EA%B4%91-%EC%B9%BC%EB%9F%BC-%EB%94%A5%EC%8B%9C%ED%81%AC%EA%B0%80-%EC%B4%89%EB%B0%9C%ED%95%98%EB%8A%94-ai-%ED%8C%A8%EA%B6%8C-%EA%B2%BD%EC%9F%81.html
  18.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179929.html
  19. https://www.newstheai.com/news/articleView.html?idxno=7010
  20. https://www.kcif.or.kr/economy/economyView?rpt_no=35381&mn=003003
  21.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5/03/2025030220512626970c8c1c064d_1
  22. https://www2.deloitte.com/content/dam/Deloitte/kr/Documents/technology-media-telecommunications/2025/kr_Deepseek_r.pdf
  23. https://blog.naver.com/darknum/223740495905?fromRss=true&trackingCode=rss
  24.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41947
  25.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743181
  26. https://www.ifs.or.kr/bbs/board.php?bo_table=research&wr_id=11001&sfl=wr_subject&stx=%EB%B0%95&sop=and
  27. https://www.yna.co.kr/view/AKR20250202002600091
  28.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42093O
  29. https://www.kcif.or.kr/economy/economyView?rpt_no=35381&mn=003003&skey=&sval=&pg=1&pp=10
  30. http://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13881
  31. https://seo.goover.ai/report/202502/go-public-report-ko-24c81f8b-bf3e-4069-9d50-d9891d4f3b81-0-0.html
  32. https://www.outsourci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09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