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주식

중국 AI 기술주 투자 가치 분석: 바이두가 최고 투자처로 부상

박태공의주식세상 2025. 3. 6. 23:27
반응형

중국 AI 기술주 투자 가치 분석: 바이두가 최고 투자처로 부상

중국 AI 기술주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는 가운데, 전문가들의 분석과 시장 동향을 종합해볼 때 바이두(Baidu)가 현재 가장 높은 투자 가치를 지닌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미국과의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중국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딥시크의 등장으로 중국 AI 기술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며 중국 AI 기술주 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바이두는 특유의 강점과 성장 잠재력으로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바이두의 투자 가치와 경쟁력

모건스탠리는 중국 AI 시장에서 알리바바, 바이두, 텐센트를 'AI 조력자'로 평가하면서도, 특히 바이두를 "가장 확실한 수혜자(most obvious beneficiary)"로 분류했습니다4. 이러한 평가의 근거는 바이두가 보유한 독보적인 기술 생태계에 있습니다. 바이두는 하드웨어와 프레임워크, 모델부터 산업 애플리케이션까지 AI와 관련된 풀스택 클라우드 프레임워크를 구축한 몇 안 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4.

특히 자율주행 분야에서의 바이두의 경쟁력은 두드러집니다. "바이두는 이미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로보택시 차량을 운영하고 있고, 자율주행 OEM 파트너십도 구축하고 있다"고 모건스탠리는 평가했습니다4. 또한 중국 최대 검색 엔진인 바이두는 "가장 광범위한 독점 검색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AI 생성 콘텐츠 개발에 필수적"이라는 강점을 지니고 있습니다4.

기술력 측면에서도 바이두는 중국 AI 특허 순위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10년간 총 1만 3723건의 특허를 출원하는 등 기술적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12. 이러한 바이두의 종합적인 경쟁력은 장기적인 투자 가치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알리바바와 텐센트의 AI 투자 확대

알리바바와 텐센트 역시 중국 AI 시장에서 높은 투자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기업들입니다. 특히 알리바바는 지난 10년간 총투자액보다 많은 자금을 향후 3년간 AI 분야에 투입하겠다는 적극적인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39. 우융밍 알리바바 최고경영자(CEO)는 "앞으로 3년간 클라우드와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는 지난 10년 동안 지출한 금액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3.

알리바바는 최근 자체 개발 AI 챗봇(QwQ-32B)을 출시하고, 영상 생성 AI '완샹'의 오픈소스를 공개하는 등 AI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1. 또한 알리바바는 중국 내 클라우드 서비스 부문에서 약 40%의 높은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어, AI 인프라 측면에서도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4.

텐센트는 중국 AI 특허 순위 1위 기업으로, 최근 10년간 1만 5626건의 특허를 출원하며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12.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 부문에서도 10~2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어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갖추고 있습니다4.

주목할 만한 중국 AI 스타트업들

최근 딥시크의 등장으로 중국 AI 기술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평가가 크게 변화하면서, 중국의 AI 스타트업들도 높은 투자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문샷 AI는 10억 달러(약 1조3300억원)에 달하는 펀딩에 성공하여 중국 AI 스타트업 사상 최대 규모의 자금을 조달했으며, 설립 10개월 만에 기업가치 25억 달러(약 33조3500억원)로 유니콘에 올랐습니다14.

지푸AI는 직원 수 기준으로 중국 내 최대 AI 스타트업이며, 지난 3월의 모금행사에서 25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6. 또한 AI 선구자 이카이푸가 설립한 01.ai도 중국 시장에 맞게 조정된 'Yi'라는 이름의 오픈 소스 모델 시리즈를 내놓아 주목받고 있습니다6.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중국 최초의 AI 칩 '쓰위안(思元)370'을 개발한 한무기(寒武紀∙Cambricon)가 2024년 한 해 동안 주가가 388%나 상승하며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8.

중국 AI 산업의 성장 전망

중국 정부는 AI 산업의 발전을 국가 차원에서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최고지도부의 '인공지능+' 사업 추진 지시에 따라 공업정보화부를 비롯한 관련 부처가 AI 산업 표준화 체계를 구축하고 규범화된 발전을 촉진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2. 또한 향후 AI 기술 개발을 위해 2024년 과학기술 R&D예산으로 3,710억 위안을 배정하는 등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13.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태티스타(Statista)의 분석에 따르면, 2030년 중국 AI 시장은 1548억 달러(약 227조원)로 성장하고, 2025년~2030년까지 향후 5년간 CAGR은 28.6%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8. 중국 정부는 2017년 수립한 '차세대 AI 발전 계획'에서 2030년까지 세계 주요 혁신의 중심이 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국가적 차원에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10.

투자 전략 및 시장 반응

최근 중국 기술주들은 딥시크를 필두로 급등세를 보이며 미국 '매그니피센트 세븐'과의 밸류에이션 격차를 좁히고 있습니다5. 항셍테크지수는 최근 몇 개월간 상당한 상승세를 보이며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골드만삭스는 "글로벌 헤지펀드가 올해 대부분 중국 주식을 사들였으며, 딥시크 열풍에 힘입어 지난주 매수 규모가 4개월 만에 최고치로 올랐다"고 보고했습니다11.

UBS의 제임스 왕 전략가는 "랠리가 절반도 안 지난 상태"라며 풍부한 유동성 등을 고려할 때 AI 관련주가 추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7. 이는 중국 AI 기술주에 대한 투자 심리가 계속해서 긍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결론: 바이두의 투자 매력도

종합적으로 볼 때, 현재 중국 AI 기술주 중 바이두가 가장 높은 투자 가치를 지닌 기업으로 평가됩니다. 모건스탠리의 "가장 확실한 수혜자" 평가, AI 관련 풀스택 프레임워크 보유, 독점적인 검색 데이터, 그리고 자율주행 분야에서의 선도적 위치 등 여러 요소가 바이두의 높은 투자 가치를 뒷받침합니다. 물론 알리바바, 텐센트, 그리고 한무기와 같은 기업들도 각자의 강점을 바탕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문샷 AI와 같은 신생 기업들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중국 정부의 AI 산업 지원 정책, 미중 무역 관계 변화, 그리고 기술 혁신 속도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바이두의 경우, AI 기술의 핵심 역량과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의 응용 가능성이 결합되어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Citations:

  1. https://www.youtube.com/watch?v=tth28rJ6cnI
  2. https://www.cm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403068
  3.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2028200009
  4. https://contents.premium.naver.com/snowball/moneyneversleep/contents/230626073315885ty
  5. https://kr.benzinga.com/news/usa/stocks/%EB%94%A5%EC%8B%9C%ED%81%AC%EC%9D%98-ai-%EB%AA%A8%EB%8D%B8%EC%9D%B4-%EC%A4%91%EA%B5%AD-%EA%B8%B0%EC%88%A0%EC%A3%BC-%EA%B8%89%EB%93%B1-%EC%A3%BC%EB%8F%84-%EB%A7%A4%EA%B7%B8-7%EA%B3%BC-%EA%B2%A9/
  6. https://www.yna.co.kr/view/AKR20240503109900009
  7. https://www.yna.co.kr/view/AKR20250212130000009
  8.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5000049
  9.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994603
  10. https://www.unicornfactory.co.kr/article/2025020316064121674
  11. https://www.ebc.com/kr/forex/136595.html
  12. http://www.kochina21.com/news/article.html?no=11887
  13. https://www.kistep.re.kr/gpsBoardDownload.es?board_se=trend&list_no=3227&seq=1
  14.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7365
  15.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05&wr_id=4411
  16.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7741
  17. https://moneyneversleep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911
  18.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5/02/21/2S42QE7EU5A37F4XYZU6NF26XA/
  19. https://www.yna.co.kr/view/AKR20250212085600009
  20. https://themiilk.com/articles/a3aaaf406
  21.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315931i
  22.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0102031
  23. https://www.youtube.com/watch?v=jt5kcP4GToI
  24. https://www.youtube.com/watch?v=wO2b9ltBG0k
  25. http://www.jlcxwb.com.cn/mobile/content/2025-02/19/content_504475.html
  26.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kgyrk30lyyo
  27.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21830i
  28. https://yonseisinology.org/articles/economics/3324
  29. https://www.youtube.com/watch?v=mY1bLyeFvvY
  30. https://vod.newspim.com/news/view/20250205000049
  31. https://jmagazine.joins.com/forbes/view/34076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