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한국 내수 경기 전망: 회복 지연과 불확실성의 시대
2025년 한국 경제는 내수 경기 회복 지연 속에서 외수 경기의 높은 불확실성으로 인해 잠재성장률을 하회하는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양한 경제 기관들의 예측에 따르면 한국 경제는 2025년에 1.3%~1.8% 범위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잠재성장률인 2.0%를 밑도는 수치입니다.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그동안 한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온 수출마저 하강 우려가 커지면서 성장세 둔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 경제는 'U'자형 완만한 회복과 'L'자형 장기 불황 사이에서 성장 추세가 변화할 수 있는 중요한 변곡점에 진입한 상황입니다1.
2025년 내수 경기 현황 및 배경
최근 한국 경제는 수출 경기가 회복 조짐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고물가, 소득 정체 등으로 인한 소비 침체와 건설 경기 부진이 지속되며 내수 경기가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 및 글로벌 무역 갈등 확대로 인한 수출 경기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내수 경기 회복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1. 내수 경기는 그동안 부진했던 민간소비와 건설투자 부문 등의 개선 여부에 크게 좌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외수 경기는 글로벌 수요 증가 여부와 현재 수출을 주도하고 있는 반도체와 ICT 경기 상황 등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1.
2024년 국내 경제는 불안정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국내 GDP는 2.0% 성장하면서 연간 기준으로는 이전에 비해 개선된 모습을 보였지만, 분기별로 살펴보면 1분기에 높은 성장세(전분기비 1.3%)를 나타냈으나 2분기에는 마이너스 성장으로 반전되었고, 3분기와 4분기에는 모두 0.1% 성장하는 데 그쳤습니다2. 이러한 배경에서 내수 경기 회복이 2025년 경제성장의 핵심 변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내수 경기 부진의 주요 원인
현재 한국의 내수 경기 부진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우선 고금리, 고물가, 소득 정체 등으로 인한 소비 침체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약화시키고 소비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1. 또한 건설 경기 부진이 내수 경기 회복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한 달간의 공사 실적을 뜻하는 건설기성은 2024년 11월 기준 전월 대비 0.2% 감소했으며, 이는 2024년 5월부터 7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인 것입니다3.
정치적 불확실성 역시 내수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JP모간은 "소비심리가 정치·정책 불확실성으로 급락하는 등 내수 부문이 취약하고 당분간 개선 여지가 보이지 않는다"며 "예상보다 부진한 내수 회복이 앞으로도 더딜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3. 이러한 내수 경기 부진이 장기화되면서 한국 경제의 성장 모멘텀이 약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25년 내수 경기 전망
2025년 한국 내수 경기는 완만한 개선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회복 속도는 매우 더딜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획재정부는 "고물가·고금리 완화 등으로 소비·설비 투자 중심으로 완만한 개선세가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소비심리가 위축돼 개선 폭이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9. 정부는 2025년 경제 성장률을 1.8%로 전망했으며, 이는 한국은행(1.9%)이나 한국개발연구원(KDI·2.0%)보다 낮은 수준으로, 잠재성장률(2.0%)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입니다9.
현대경제연구원은 2025년 한국 경제가 내수 경기 회복 지연 속 높은 외수 경기 불확실성으로 1.7% 정도의 성장세를 기록해 잠재성장률을 하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6. 일부 투자은행들은 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으며, 탄핵 정국 여파로 내수가 위축돼 2025년 한국 경제 성장률이 1.3%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3.
민간 소비 전망
2025년 민간 소비는 금리 하락과 가계 가처분소득 확대, 기저효과 등에 따라 소폭이나마 회복 전환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고용 환경 악화와 자산시장 불안정 등이 소비 회복세를 제한할 가능성이 큰 만큼 본격적인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6. 자본시장연구원은 2025년 중 민간 소비는 수출 둔화와 소비심리 악화가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빠르게 회복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다만, 하반기에는 기준금리 인하의 효과가 시차를 두고 나타나면서 민간 소비가 다소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했습니다2.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이사대우는 "국내 민간소비 부진 현상이 지속되고, 소비가 성장에 미치는 기여도 역시 약화하고 있어 소비 회복 지연이 경기 회복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4. 실제로 2024년 2분기 민간소비는 올해 1분기보다 0.2%, 설비투자는 2.1%, 건설투자는 1.1% 감소했습니다4. 이러한 추세가 2025년에도 이어질 경우 내수 경기 회복은 더딜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유통 시장 전망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2025년 유통산업 전망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5년 소매시장은 올해 대비 0.4% 성장에 그칠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5. 응답업체의 66.3%는 2025년 유통시장이 2024년보다 부정적일 것으로 평가했으며, 부정평가의 이유로는 소비심리 위축(63.8%)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고물가 지속(47.7%), 고금리 지속에 따른 가계부채 부담증가(38.2%), 시장경쟁 심화(34.2%), 소득·임금 불안(24.2%) 순이었습니다5.
업태별 성장률 전망치는 온라인쇼핑(2.6%)이 업태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대형마트(0.9%), 백화점(0.3%), 편의점(-0.3%), 슈퍼마켓(-0.7%) 순으로 예상됐습니다5. 이는 소비 패턴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코로나19 이후 가속화된 소비 행태의 변화가 2025년에도 계속될 것임을 시사합니다.
내수 경기에 영향을 미치는 국내외 요인
글로벌 경기 및 수출 환경
글로벌 통화정책이 완화적인 기조로 전환됨에 따라 금융 및 투자 환경 개선, 중국 등 주요국 경기 진작책 추진 등으로 세계 경제의 회복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트럼프 2기 정책 불확실성과 글로벌 교역 불확실성 확대 등의 리스크가 성장을 제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1.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무역 및 관세 공약이 현실화될 경우, 한국의 수출에 큰 타격을 입힐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반도체 등 주력업종의 경쟁 심화에 미국 정부의 통상정책 전환으로 수출 증가세가 둔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9. 그동안 경제 성장을 이끌었던 수출은 전년 대비 1.5%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으며, 이는 2024년 수출 증가율 8.1%에 비해 증가 폭이 80% 넘게 줄어드는 것입니다9. 반도체 경기가 사이클상 하강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對중국 제재 강화 등으로 반도체 수출이 크게 감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6.
통화정책 및 금융 환경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방향도 내수 경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물가상승률이 한국은행의 목표 수준에 근접하는 가운데 실물 경제 둔화가 우려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통화정책은 경기 중심으로 운용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에 따라 2025년 중 기준금리는 총 75bp 인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2. 이는 가계와 기업의 이자 부담을 완화시켜 소비와 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요인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원/달러 환율의 경우, 2025년 하반기에는 국내 불확실성 완화와 세계국채지수 추종 자금 유입 등에 따라 점진적으로 하향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대외적인 강달러 요인과 국내 경기둔화 등으로 원/달러 환율의 하방경직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당분간 높은 변동성이 예상됩니다2. 대내적 측면에서도 2025년 전반적으로 원화 약세 압력이 우세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국내 경기둔화와 함께 미국의 무역정책으로 우리나라의 수출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2.
내수 경기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2025년 한국 경제는 잠재성장률을 하회할 정도로 성장세가 둔화될 가능성이 큰 만큼 성장 친화적인 정책 기조를 강화하며 동시에 단기 경기부양책 도입 등을 통해 성장경로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1. 만약, 수출 경기 회복세가 약화되기 전에 내수 회복을 견인할 수 있는 금리 인하의 가속이나 재정지출 확대 등의 정책 전환이 이루어진다면 'U'자형의 완만한 성장경로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6.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경제여건 전반을 1분기 중 재점검해 필요하면 추가 경기보강 방안을 검토하겠다"며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가능성을 열어두었습니다9. 이는 정부가 내수 경기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 대응을 고려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유통업계 전문가들은 소비침체 속에 살아남기 위해서 업계는 변화와 혁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송지연 보스턴컨설팅그룹 코리아 소비재 부문 파트너는 "자기 탈피를 해내는 진화를 못하면 새로운 경쟁자에게 자리를 내주는 것이 유통업의 본질이다"며 "과거 성공 방정식을 벗어나 혁신을 단행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8.
결론: 불확실성 속의 내수 회복 과제
2025년 한국 내수 경기는 여러 불확실성 요인에도 불구하고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 회복 속도는 상당히 더딜 것으로 전망됩니다. 고금리, 고물가, 소득 정체 등으로 인한 소비 침체와 건설 경기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과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한국 경제의 회복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내수 경기 회복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며, 금리 인하의 가속화와 재정지출 확대 등 경기부양책이 효과적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유통업계를 비롯한 민간 기업들도 변화와 혁신을 통해 소비자들의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내수 활성화에 기여해야 할 것입니다. 향후 한국 경제가 'U'자형의 완만한 회복 경로를 따를지, 아니면 'L'자형의 장기 불황 국면에 진입할지는 정부와 민간의 협력적 대응에 달려 있을 것입니다.
Citations:
- https://www.ricon.re.kr/file_download.php?type=journal&no=63&key=2025%EB%85%84+%EA%B1%B4%EC%84%A4%C2%B7%EB%B6%80%EB%8F%99%EC%82%B0+%EA%B2%BD%EA%B8%B0%EC%A0%84%EB%A7%9D&sort=0
- https://www.kcmi.re.kr/publications/pub_detail_view?syear=2025&zcd=002001016&zno=1832&cno=6489
-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0715981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81611350005683
- http://www.korcham.net/nCham/Service/Economy/appl/KcciReportDetail.asp?SEQ_NO_C010=20120940234&CHAM_CD=B001
- https://www.hri.co.kr/upload/board/2887010266_WZR5c0kj_20241210123438.pdf
-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0850201
- http://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468
- https://www.khan.co.kr/article/202501021040001
- https://www.pwc.com/kr/ko/insights/samil-insight/economic-outlook2025.html
- https://www.kdi.re.kr/research/analysisView?art_no=3567
- https://hri.co.kr/upload/board/2887056084_bBZEN3er_20240919044938.pdf
- 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5/01/02/VVVJJ3IMENCHFKQEAVCRQ5U3JE/
- https://www.ifs.or.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54467
- https://hri.co.kr/upload/board/2887010184_FIzbk0ip_20240909052729.pdf
- https://www.yna.co.kr/view/AKR20241226050400003
- https://www.kdi.re.kr/research/economy
- https://www.kif.re.kr/kif4/publication/viewer?mid=20&vid=0&cno=341976&fcd=2024012421NR&ft=0
- https://hri.co.kr/upload/board/2887056010_7HfqBZML_20241204080049.pdf
- https://www.youtube.com/watch?v=fwYls-Zoluc
- https://www.hri.co.kr/upload/board/2887055988_FIqwTNJp_20240726014015.pdf
-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63630
'글로벌 경제 매크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경제 성장률 하락의 원인과 구조적 도전 (0) | 2025.03.04 |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0) | 2025.03.04 |
2025년 한국 경제 근황 (0) | 2025.03.04 |
2025년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 전망: 상고하저 전망과 영향 요인 분석 (0) | 2025.03.03 |
2025년 미국 기준금리 전망 분석 (0)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