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 매크로

2025년 중국 경제지표 전망 분석

박태공의주식세상 2025. 3. 6. 23:24
반응형

2025년 중국 경제지표 전망 분석

2025년 중국 경제는 대내외 도전에 직면하면서도 안정적 성장을 위한 적극적 정책 대응이 예상됩니다. 국제 정세의 불확실성과 내부 구조적 문제가 공존하는 가운데, 중국 정부는 경제 활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2025년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 전망과 정책 방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겠습니다.

경제성장률 전망: 4~5% 구간 예상

2025년 중국 경제성장률은 대내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에 힘입어 4~5%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문가들은 구체적으로 4.4~4.5% 성장을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시진핑 주석이 제시한 5% 목표치에는 다소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413. 중국 정부는 2025년에도 전년과 유사한 5% 내외의 성장률 목표를 제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8.

이러한 성장률 전망의 배경에는 여러 도전과제가 있습니다.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관세 정책이 가장 큰 불확실성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JP모건의 분석에 따르면, 극단적인 경우 미국의 60% 관세 인상으로 중국의 성장률이 3.9%까지 둔화할 수 있다는 경고도 있습니다13.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는 미국의 60% 고율 관세 부과가 중국의 실질 성장률을 0.9% 하락시킬 것으로 추정했습니다8.

그러나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과 내수진작 노력이 하방 압력을 일정 부분 상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대규모 설비 업그레이드와 소비재 이구환신(以舊換新, 노후 제품을 신제품으로 교체) 정책을 통한 내수 확대가 성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전망됩니다35.

물가 동향: 디플레이션 우려 속 완만한 상승세 예상

2025년 중국의 물가 상황은 다소 복합적인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소비자물가는 서비스 가격을 중심으로 완만한 오름세를 이어가면서 2024년보다 다소 높은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1. 그러나 다수 지방정부가 2025년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 목표를 2024년 '3% 내외'에서 '2% 내외'로 하향 조정한 점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제한적일 것임을 시사합니다5.

특히 디플레이션 위험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국의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20년 만에 처음으로 2% 아래로 떨어지는 등 일본식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모건스탠리는 디플레이션을 "중국의 공공의 적 #1"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습니다13.

중국 정부는 이러한 디플레이션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내수 진작과 소비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퇴직자 기본연금 인상과 의료보험 보조금 확대 등을 통해 중산층과 저소득층의 비용 부담을 줄여 소비 의욕을 높이는 정책이 예상됩니다11.

재정 정책: 적극적 확장으로 전환

2025년 중국의 재정 정책은 '더욱 적극적인' 방향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재정적자 규모를 확대하고, 특별국채와 지방특별채권 발행을 늘리는 등 확장적 재정정책이 예상됩니다16. 구체적으로 재정적자율은 역대 최고치인 4~4.5% 수준까지 상향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경기부양을 위한 중국 정부의 강한 의지를 보여줍니다89.

중국 중앙경제업무회의에서는 재정적자 확대, 재정 지출 강도 확대, 초장기 특별 국채 발행 증가, 지방정부 특별채 발행·사용 확대 등을 포함한 조치를 제안하며 "보다 적극적인 재정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6. 이러한 대규모 재정투입은 내수진작과 지방정부 부채 부담 경감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는 전략으로 볼 수 있습니다.

중국 재무부의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은 2023년 말 기준 67.5%로 G20 회원국 평균(118.2%)과 G7 국가(123.4%)보다 훨씬 낮습니다. 이러한 낮은 정부 부채 비율은 재정적자를 확대할 여력이 있음을 의미합니다12. 올해 최대 3조 위안의 특별 국채가 발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경기부양을 위한 재원으로 활용될 전망입니다13.

통화 정책: 완화적 기조 강화

2025년 중국의 통화정책은 기존의 '신중한' 기조에서 '적당히 완화적(moderately loose)' 또는 '지원적' 기조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2011년 이후 처음으로 통화정책 기조가 명확히 완화되는 것으로, 경기부양 의지를 재확인하는 것입니다712.

인민은행은 경제성장과 완만한 물가 상승을 지원하기 위해 특별재대출 제도, 정책금리 인하, 지급준비율 인하 등 다양한 정책수단을 활용할 것으로 전망됩니다1. 판공셩 인민은행 총재는 기업과 가계의 유동성 확대와 전반적인 자금조달 비용 인하를 약속했으며, 부동산·자본시장 안정화를 위한 구조적 통화정책을 최적화하고, 기술 혁신·녹색 금융·소비자금융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7.

다만, 미국 연준의 금리인하 단행 속도의 불확실성과 위안화 평가절하 압박이 심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통화정책 완화 수위 조정에 있어 속도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3. 중국 인민은행은 통화량 지표인 M1의 산정 범위를 확대하는 계획도 발표했는데, 이는 중국 금융상품의 급속한 변화를 반영한 조치로 평가됩니다7.

주요 경제 이슈 및 정책 방향

미중 무역갈등 대응

2025년에는 미중 무역갈등이 최고조에 달하고 기술전쟁과 금융전쟁이 전면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8.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산 수입품에 6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을 공언한 바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중국은 비 미국 수출 시장 개척을 위한 전략을 준비하고 있습니다4.

중국의 대응 전략으로는 위안화 환율 절상(위안화 가치 하락), 관세 인하를 통한 유럽·아시아·아프리카 국가와의 관계 강화, 산업 공급망의 중간재 생산 기지를 베트남이나 멕시코 등 제3국으로 이전하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습니다8.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가 10% 하락하면 이론상 미국의 중국산 수입품 물가는 2.5~3.5% 하락할 것으로 추정되어 무역 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8.

내수진작 정책

중국 정부는 외부 환경이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상황에서 내수진작을 통한 경기회복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2025년에는 작년보다 지원 강도를 높인 대규모 설비교체와 소비재 이구환신 정책이 시행될 것으로 보입니다5.

지방정부들도 디지털소비, 녹색 소비, 헬스 소비, 스포츠 대회 관련 등 신소비 육성과 문화관광 수요 발굴, 서비스 소비 촉진 등 다양한 내수진작 정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5. 이러한 정책들은 부동산 시장 침체로 인한 경기 하방 압력을 상쇄하고 소비주도 성장으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것입니다.

부동산 시장 안정화

중국의 부동산 시장 위축세가 다소 안정되고 있으나, 누적된 주택 재고 압력과 인구구조 변화 등의 부담 요인이 여전히 상당합니다4. 부동산 시장 안정화는 중국 경제의 중요한 과제로, 특별채 자금이 기존 상품 주택 매입, 유휴 토지 매입 등에 사용되는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예상됩니다6.

결론

2025년 중국 경제는 대내외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면서도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으로 4~5% 수준의 안정적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중 무역갈등의 심화, 디플레이션 위험, 부동산 시장 불안정성 등 위험요소가 있으나, 확장적 재정정책과 완화적 통화정책, 내수진작 정책의 시너지로 경기 하방 압력을 상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은 2025년에 재정적자율을 역대 최고 수준인 4~4.5%로 확대하고, 통화정책도 '적당히 완화적' 기조로 전환하여 경제 활력 제고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내수 소비 촉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면서, 성장 동력의 균형을 맞추려는 노력이 강화될 것입니다.

중국 경제의 이러한 변화는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경제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기업들에게는 중국의 정책 변화와 시장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입니다.

Citations:

  1. https://www.ii.re.kr/korchn/board/read?boardManagementNo=55&boardNo=17559&menuLevel=1&menuNo=31
  2. https://www.samsungpop.com/common.do?cmd=down&contentType=application%2Fpdf&inlineYn=Y&saveKey=research.pdf&fileName=1050%2F2025011715124056K_02_02.pdf
  3. https://www.youtube.com/watch?v=wX_oTa_p77w
  4. https://greenium.kr/news/60613/
  5.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80&CONTENTS_NO=2&bbsGbn=242&bbsSn=242&pNttSn=226329
  6. https://kr.news.cn/20241219/0cbcc174f26a41bc82bbad03f97a2578/c.html
  7.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4/12/202412041057586871fbbec65dfb_1
  8.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1216000924
  9. https://www.hanaw.com/main/research/research/download.cmd?bbsSeq=1280596&attachFileSeq=1&bbsId=&dbType=&bbsCd=1260
  10.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5/01/2025010420321867290c8c1c064d_1
  11.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4/12/202412150746109586fbbec65dfb_1
  12. https://www.yna.co.kr/view/RPR20241214000800353
  13.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5/01/2025010719495263020c8c1c064d_1
  14. https://www.pwc.com/kr/ko/insights/samil-insight/economic-outlook2025.html
  15. https://www.lawtimes.co.kr/LawFirm-NewsLetter/204541
  16. https://ko.tradingeconomics.com/china/gdp-growth-annual
  17. https://www.kcif.or.kr/economy/economyView?rpt_no=35478&mn=003003
  18. https://www.mofa.go.kr/www/brd/m_4049/view.do?seq=281422&srchFr=&%3BsrchTo=&%3BsrchWord=&%3BsrchTp=&%3Bmulti_itm_seq=0&%3Bitm_seq_1=0&%3Bitm_seq_2=0&%3Bcompany_cd=&%3Bcompany_nm=&page=869
  19. https://www.kiet.re.kr/common/file/userDownload?atch_no=ZX%2Bcr3naK9pCOPkRCrEHYg%3D%3D&menu_cd=002002001&lang=KR&no=3010
  20.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90842
  21. https://ko.tradingeconomics.com/china/leading-economic-index
  22. https://www.kcif.or.kr/economy/economyView?rpt_no=35273&mn=003003
  23.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91261&pg=&pp=20&issus=S
  24. https://www.youtube.com/watch?v=wBow8Tq2lmE
  25. https://hri.co.kr/upload/board/2887056119_WqX03OMw_20240902054040.pdf
  26. https://www.kati.net/board/boardView.do?board_seq=101997
  27.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1&pagePerCnt=10&SITE_NO=3&MENU_ID=70&CONTENTS_NO=1&bbsGbn=00&bbsSn=506%2C242%2C244%2C322%2C245%2C444%2C246%2C464%2C518%2C505%2C484&pNttSn=226501&recordCountPerPage=10&viewType=&pNewsGbn=506%2C242%2C244%2C322%2C245%2C246%2C464%2C518%2C505%2C484&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KbcCd=&pIndustCd=&pNewsAll=&pNewsCd=506&pNewsCd=242&pNewsCd=244&pNewsCd=322&pNewsCd=245&pNewsCd=246&pNewsCd=464&pNewsCd=518&pNewsCd=505&pNewsCd=484&sSearchVal=
  28. https://korean.cri.cn/2025/01/07/ARTI1736233364446177
  29.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91261
  30. https://csf.kiep.go.kr/newsView.es?article_id=55634&mid=a20100000000
  31.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92203
  32. https://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891
  33. https://www.bok.or.kr/portal/bbs/P0002234/view.do?nttId=10067362&menuNo=200088
반응형